뀨나의 온라인 서랍장

UX 법칙_목표 그라데이션 효과 / 힉의 법칙 본문

UIUX/학습일지

UX 법칙_목표 그라데이션 효과 / 힉의 법칙

kkyuna 2024. 2. 4. 23:44

1. HEURISTIC

경험이나 직관, 시행착오를 통해 얻은 지식이나 규칙을 말한다.

목표 그라데이션 효과 (Goal Gradient Effect)

목표에 가까울수록 목표에 도달하려는 경향이 증가한다.

1. 사용자가 작업 완료에 가까울수록 작업에 도달하기 위해 더 빨리 노력한다.

2. 목표를 향한 인위적인 진행 상황을 제공하면 사용자가 해당 작업을 완료하려는 동기를 가질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도움이 된다.

3. 사용자가 작업을 완료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진행 상황을 명확하게 표시한다.

 

목표 그라데이션 효과의 예시로는 프로그레스 바가 있다. 유저는 프로그레스바가 달성이 도달할수록 더 빨리 해결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작심삼일이라고 생각해도 이해가 빠른 예시라고 한다.

 

출처 : https://arpit-batri.medium.com/hicks-law-in-ui-ux-design-374e8b92e414

 

 

힉의 법칙 (Hick's Law)

의사결정에 걸리는 시간은 선택지의 개수와 복잡성과 비례해 늘어난다.

1. 결정 시간을 줄이기 위해 응답 시간이 중요한 경우 선택 사항을 최소화한다.

2.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해 복잡한 작업을 더 작은 단계로 나눠라.

3. 권장 옵션을 강조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부담을 주지 마라.

4. 점진적인 온보딩을 사용하여 신규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최소화하라.

5. 추상화 지점까지 단순화하지 않도록 주의하라.

 

힉의 법칙의 예시로는 구글 메인 검색창이 있다. 이전의 구글 검색창에는 수 많은 옵션들이 있어, 유저에게 인지 부하가 나타나 결정을 방해한다. 그러나, 핵심적인 검색창만 잘 보이게 두었을 때에는, 검색이라는 행동을 유도하는데에 1초도 걸리지 않는다.

출처 : https://arpit-batri.medium.com/hicks-law-in-ui-ux-design-374e8b92e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