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UX 39

[시작 스프린트] 프로덕트 7기 2주차 기록

벌써 시작 스프린트 프로젝트를 시작한 지 2주가 흘렀다. 확실히 이전에 내가 서비스 개선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보다, 더 깊고 꼼꼼하게 UX를 분석하고 개선하고 있다는 생각이 스스로에게 들었다. 오늘은 저번 포스팅에서 언급했듯이, 솔루션 라이팅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한다. 간단해보이면서도, 문제점과 목표를 명확히 정의할 수 있어 매우 좋은 방식이라고 생각해 기록해두고 싶었다.추가적으로, 사수 디자이너님께서 제안주셨던 유저 플로우를 확인할 수 있는 법이었던 'User Screen Flow' 방식도 기록해두려 한다. https://seezak-sprint.oopy.io/ 시작 스프린트디자이너를 위한 실무 교육 프로그램seezak-sprint.oopy.io  1. 솔루션 라이팅아래는 내가 직접 작성한 솔루션 라이..

UIUX/학습일지 2024.07.14

[시작 스프린트] 프로덕트 7기 1주차 기록

프로덕트 디자인을 본격적으로 학습하기 시작한지 어느덧 6개월이 되어간다.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진행하면서 꽤 많은 것들을 배웠다고 생각했는데 UX적으로 얼마나 깊게 생각할 수 있는지, 나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를 제대로 시험해 본 적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새롭게 구축 프로젝트를 하기 보다는, 기존에 존재하는 서비스의 문제점을 정의하고 유의미하게 비즈니스 지표를 개선해보고 싶었다. 그래서 평소에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프로젝트인 '시작 스프린트'를 아주 깊은 고민 끝에 신청했다.  https://seezak-sprint.oopy.io/ 시작 스프린트디자이너를 위한 실무 교육 프로그램seezak-sprint.oopy.io    개선하기로 정해진 서비스는 '지금예약' 서비스이다. ‘지금..

UIUX/학습일지 2024.07.07

신규 프로젝트를 위한 Fake Test와 프리토타이핑

0. 신규 프로젝트 아이디어 설명 AI와 친해질 수 있도록 도와줄게요! 4차 산업혁명이 발전하면서 AI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에 발맞추어 AI를 더욱 편리하고 효과적이게 일상에서 사용하고자하는 사용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 친숙도가 낮은 유저들은 어떻게 하면 더 잘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기 어렵습니다. 저 역시 AI 기술을 이용해 편리함을 누리고 싶지만, 어떠한 툴이 어떠한 점에서 좋은건지, 어떻게 사용하면 효과적인지를 쉽게 알기는 어렵습니다. 'AI 사용에 있어 유용한 정보들을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출발하게 된 아이디어입니다. 1. 현황분석 AI가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앞으로 사용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근거 국내 기업 AI 활용,..

UIUX/학습일지 2024.03.04

레퍼런스 분석 #09 알라딘(Aladin)

*iOS 를 기반으로 한 케이스 스터디입니다.마지막 레퍼런스로 어떤 서비스를 할까 고민하다, 친구와 우연히 책에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친구는 종종 교보문고와 알라딘을 자주 들리는 성향이었으며, 책을 구매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러다 친구가 자주 사용하는 알라딘 서비스가 불편하게 디자인 되어 있어, 경험이 좋지 않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저 역시 독서에 취미를 두고 있었기 때문에, 책을 거래하는 서비스에 대해 궁금해졌습니다. 친구가 어떠한 점에서 알라딘 서비스가 불편했는지, 또 이러한 친구의 경험을 개선해주기 위해서는 어떠한 개선 방안이 필요할지 분석해보고자 알라딘 서비스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알라딘에 대해 파헤쳐보자! 📚알라딘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알라딘은 1998년에 설립되어..

UX 법칙_폰레스토프 효과 / 자이가르니크 효과

4. COGNITIVE BIAS 경험에 의해 만들어진 비논리적 추론 폰 레스토프 효과 (Von Restorff Effect) 비슷한 사물이 여러 개 있으면 그 중에서 가장 차이나는 한 가지만 기억할 가능성이 크다. 1. 중요한 정보나 핵심 작업을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만들어라. 2. 시각적 요소를 강조할 때에는 시각적 요소를 제한하여 서로 경쟁하는 것을 방지하고 눈에 띄는 항목이 광고로 잘못 식별되는 일이 없도록 하라. 3. 대비를 전달하기 위해 색상에만 의존하여 색약 또는 저시력이 있는 사람들을 배제하지 마라. 4. 대비를 전달하기 위해 모션을 사용할 때 모션 민감도가 있는 사용자를 주의 깊게 고려하라. 동일한 포맷의 형태 또는 디자인들 중, 사용자들은 시각적으로 더 눈에 잘 띄거나 잘 구별되는 것을 더..

UIUX/학습일지 2024.02.21

UX 법칙_피크엔드 법칙 / 서열 위치 효과

4. COGNITIVE BIAS 경험에 의해 만들어진 비논리적 추론 피크엔드 법칙 (Peak-End Rule) 인간은 경험 중 느꼈던 가장 극적인 감정과 마지막 순간에 느낀 감정을 바탕으로 그 경험 자체를 판단한다. 1. 사용자 여정의 가장 강렬한 지점과 마지막 순간 (끝)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라. 2. 귀하의 제품이 가장 유용하고, 가치있고, 재미있는 순간을 식별하고 최종 사용자를 기쁘게 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라. 3. 사람들은 긍정적인 경험보다 부정적인 경험을 더 생생하게 기억한다는 것을 기억하라. 사용자들은 경험이 좋았던 좋지 않았던 가장 마지막과 최근의 경험을 기반으로 전체를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서비스를 디자인 할 때에 있어서도 마지막 경험이 재미있고 좋았던 경험을 사용자에게 안겨주는..

UIUX/학습일지 2024.02.20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로딩 UI 제작기

오늘은 로딩 화면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스켈레톤 UI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 서비스 개발 중에 로딩 화면이 필요하다고 하셔서, 저번에 한번봤었던 좋은 내용의 포스팅을 다시 한 번 정독해보았다. 상황에 맞는 로딩 애니메이션 적용하기 다양한 형태의 로딩 애니메이션을 상황에 맞게 적용하기 medium.com 스켈레톤 로딩, 언제 사용해야 할까? — 헤이딜러 UX 스터디 - ‘스켈레톤 로딩’을 어떤 기준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는지에 대해 공유합니다 - 그런데 용어는 Shimmer일까요? Skeleton일까요? medium.com 로딩 애니메이션까지 생각해야할줄 초반에는 몰랐는데.. 공부를 시작하고나니 이렇게 디테일한 요소도 빠짐없이 신경써야하는 게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또 하나의 역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누..

UIUX/학습일지 2024.02.20

레퍼런스 분석 #08 스픽(Speak)

*iOS 를 기반으로 한 케이스 스터디입니다.최근 AI 기술을 활용해, 공부를 돕는 똑똑한 서비스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저도 현재 AI 기술에 기반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는터라, 평소에 이러한 AI 신기술들을 다른 디자이너분들은 UIUX적으로 어떻게 풀어냈는지를 살펴보고 싶었습니다. 또한, 스픽은 App Store나 서비스 시장에서 꽤 좋은 호평들을 많이 듣고 있었고, 최근에는 다양한 매체에서 눈에 종종 띄었습니다. 그만큼 스픽이 유저들에게 매력적인 서비스로 다가왔다는 점이라는 반증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스터디 케이스 서비스로 AI 영어회화 앱인 스픽을 분석해보려합니다. 결론적으로 스픽을 고르게 된 계기는 아래의 두 가지의 궁금증 때문이었습니다.스픽의 어떤 경험이 많은 사람들의 호평을 불러 일..

UX 법칙_유사성의 법칙 / 균일한 연결성 법칙

3. GESTALT 형태와 패턴을 지각하는 방식 유사성의 법칙 (Law of Similarity) 사람은 유사한 요소를 묶어서 지각하려는 경향이 있다. 1. 시각적으로 유사한 요소는 관련된 것으로 인식된다. 2. 색상, 모양, 크기, 방향 및 움직임은 요소가 동일한 그룹에 속하고 공통된 의미나 기능을 공유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3. 링크와 탐색 시스템이 일반 텍스트 요소와 시각적으로 구별되는지 확인하라. 사용자들은 시각적으로 유사한 요소는 서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고,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을거라는 생각을 한다. 따라서 유사한 요소끼리 묶어서 비슷한 형태와 컬러 등으로 디자인하여,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시는 아래의 버튼 컬러를 구분한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다. 각각 'E..

UIUX/학습일지 2024.02.14

UX 법칙_근접성의 법칙 / 프래그난츠의 법칙

3. GESTALT 형태와 패턴을 지각하는 방식 근접성의 법칙 (Law of Proximity) 사람은 가까이 있는 물체를 그룹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1. 근접성은 가까이 있는 사물과의 관계를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가까이에 있는 요소는 유사한 기능이나 특성을 공유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3. 근접성은 사용자가 정보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해하고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용자들은 서로 가까이 있는 것들을 비슷한 성격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근접성의 법칙의 예시로는 GNB 카테고리를 들 수 있다. 웹사이트에 있는 카테고리는 가까이 함으로서 서로 유사한 성격이라는 것을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프래그난츠의 법칙 (Law of Pragnanz) 사람은 이미지를 가장 단순한 형..

UIUX/학습일지 2024.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