뀨나의 온라인 서랍장

[시작 스프린트] 프로덕트 7기 2주차 기록 본문

UIUX/학습일지

[시작 스프린트] 프로덕트 7기 2주차 기록

kkyuna 2024. 7. 14. 23:07

벌써 시작 스프린트 프로젝트를 시작한 지 2주가 흘렀다. 확실히 이전에 내가 서비스 개선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보다, 더 깊고 꼼꼼하게 UX를 분석하고 개선하고 있다는 생각이 스스로에게 들었다. 오늘은 저번 포스팅에서 언급했듯이, 솔루션 라이팅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한다. 간단해보이면서도, 문제점과 목표를 명확히 정의할 수 있어 매우 좋은 방식이라고 생각해 기록해두고 싶었다.

추가적으로, 사수 디자이너님께서 제안주셨던 유저 플로우를 확인할 수 있는 법이었던 'User Screen Flow' 방식도 기록해두려 한다.

 

https://seezak-sprint.oopy.io/

 

시작 스프린트

디자이너를 위한 실무 교육 프로그램

seezak-sprint.oopy.io

 

 

1. 솔루션 라이팅

아래는 내가 직접 작성한 솔루션 라이팅 내용이다. 하단의 내용을 보면, 굳이 이곳에 기재하지 않아도 명확하게 어떤 점이 문제이고 어떤 점이 개선 목표인지 확인할 수 있다.

 

 


1. 달성하고자 하는 비즈니스 목표는 무엇인가요?

‘지금예약’은 코딩을 하지 않고도 업종이 있는 사장님들이 나만의 SNS 연동 예약 사이트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 중에서도 개선해야 할 UXUI 디자인은 고객의 예약 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예약 시간 설정하기’ 기능입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프로덕트 개선의 목표는 ‘IT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30대~40대 사용자를 위해 직관적으로 예약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입니다.

이 문제를 개선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비즈니스 지표는 '예약 시간을 설정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10초 이상 단축시키는 것 (학습할 필요 없이 직관적인 디자인)'입니다.

 

 

2. 기존 상황에서의 비즈니스 문제는 무엇인가요?

사용자의 정성적(VOC) 데이터를 통해, ‘예약 시간 설정하기’ 기능을 번거롭게 느끼는 유저들이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장님들이 본업에 집중하지 못해 고객과 매출이 떨어질 수 있다는 비즈니스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어떤 유저 문제를 정의했나요?

사용자의 정성적(VOC) 데이터를 확인해보았을 때, ‘예약 시간 설정하기’ 기능의 사용성이 직관적이지 않아 번거롭고 귀찮은 감정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예약 시간 설정하기의 사용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는 유저에게 불필요하고 반복적인 행동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4.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자 하나요?

Goal : 예약 가능 시간 설정 플로우 10초 이상 단축하기

  • 과정 줄이기
  • 규칙적/불규칙적 일정 모두 실현 가능 방식 제공
  •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하기

[예약 가능 시간 설정 전]

  1. 예약 시간 설정 기능을 먼저 설정할 수 있다면, 예약 시간 설정이 더 빨라질 것입니다. → 과정 줄이기

[예약 가능 시간 설정 중]

  1. 예약 확정된 시간을 열거나 닫는 ON/OFF 기능을 추가하면, 용어를 고민하는 시간이 줄어들 것입니다. → 과정 줄이기
  2. 영업 시간을 바로 기재하여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한다면, 규칙적으로 영업하는 사장님들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 과정 줄이기
  3. 정기휴무일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한다면, 규칙적으로 영업하는 사장님들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 규칙적/불규칙적 일정 모두 실현 가능 방식 제공
  4. 예약 시간 단위를 템플릿 형태로 제공한다면, 사장님들이 빠르고 자유롭게 예약 시간을 설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규칙적/불규칙적 일정 모두 실현 가능 방식 제공
  5. 예약 시간 사이에 휴식 시간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면, 휴식이 필요한 사장님들도 유동적으로 시간을 설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규칙적/불규칙적 일정 모두 실현 가능 방식 제공

[예약 가능 시간 설정 후]

  1. 일정 탭에서 예약이 불가한 시간을 바로 설정할 수 있다면, 불규칙한 시간을 설정하기에 유동적일 것입니다. → 과정 줄이기
  2. 나의 영업 시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예약 일정을 더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하기

 

5. 예상되는 결과(해결 후)는 무엇인가요?
  1. 예약 시간 설정 기능에서 불편함을 호소하던 유저의 VOC가 줄어들 것입니다.
  2. 예약 시간을 설정하는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 10초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
  3. 그러면 사장님들의 시간이 절약되고 본업에 집중할 수 있으며, 고객과 매출이 증가할 것입니다.

 


 

솔루션 라이팅을 약 2주 정도 디벨롭 시키면서, 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문제를 정의하고 솔루션을 제안하려는 노력을 했다. 확실히 상단의 글만 읽어보아도 내가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어떠한 문제점을 해결할건지가 명확히 드러난다. 이전에는 솔루션을 두루뭉실하게 제안했었던 경향이 있었지만,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더욱 깊게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2. User Screen Flow

스크린 플로우 방법을 통해, 현재 내가 개선한 화면을 두었을 때 어떠한 점이 문제가 될 수 있는지 빠르게 확인할 수 있었다.

 

제작한 와이어프레임을 바탕으로 작성해 본 User Screen Flow

 


 

 

두 번째 사수 디자이너님 그리고 기업대표님과의 피드백 시간이 끝난 후, 아래의 사항들을 배우고 또 느끼게 되었다.

 

1. 새롭게 배운 점

  • 온보딩 화면 설계와, 서비스 내의 설정에서 어떻게 온보딩에서 기록한 정보를 수정 가능하게 할지 생각해볼 수 있었다는 점
  • User Screen Flow를 통해, 내가 설계한 화면이 어떻게 매끄러운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알 수 있다는 점

2. 좋았던 점

  • 유사한 서비스들을 좀 더 리서치해보며, 경쟁사의 UIUX 디자인과 플로우를 확인해 본 점
  • 도출된 가설들을 기반으로 전중후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정리해본 점
  • 사용자 입장에서 서비스를 전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었다는 점

3. 아쉬웠던 점

  •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다른 케이스들의 경우를 생각해 본 시간이 부족했다는 점
  • 한 가지의 UI가 아닌 다른 방식의 UI들을 좀 더 넓게 고려해보지 못한 점

머리를 관통했던 피드백 간략 정리💭

  • 유저들에게 선택의 자유를 주는 UI (ex. Input Field) 로 설계한다면, 그만큼 에러가 날 수 있는 확률도 크다는 점
  • UX 라이팅은 내 생각보다 더 명확한 용어로 정의되어야 한다는 점 (아니면 혼돈을 줄 수 있음)
  • 전체적으로 Flow를 확인했을 때, 전반적인 유저의 경험을 한 눈에 볼 수 있다는 점

 

 

다음 주에는 본격적으로, UI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고민했었던 문제들을 기록해보려고 한다. 남은 2주도 최선을 다해 공부해보자! 이번주도 잘했다!  :)